마이랜섬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다면?

2019. 8. 19. 13:40랜섬웨어 복구

안녕하세요. 평소처럼 컴퓨터의 파일을 실행하였지만 "이 파일을 열 수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와 함께 이 파일을 열 수 잇는 프로그램을 선택해야 된다는 창이 나온다면 먼저 확인을 해보아야 될 것이 있습니다. 바로 마이랜섬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어 확장자가 변경이 된 것은 아닌지, readme.txt 메모장이 생성이 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것입니다. 매일 새로운 확장자가 나오기 때문에 확장자 검색을 해봐도 정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현재까지 수천개가 있는데 최근 (8. 19일)에 확인된 확장자는

brqtfip bswcalmxv bzophne cwmdnba delurmiwr dygjudzb exuhuqp fmdcatqx fmrvrvny givhoeou godfetajw jjpesuzw mgtkeag mpfwpbg njbvjkxx nnicdbc nqpwngoj ocwmmdvuo omovfmvcq pgvouyzm rlkmbvjzq sdrrydgz sfogevs tlibwokt ufcqxnbj ugkwifs ukqnigbpk uxpxsksx wqevbkct wtgnlurr wusxbcmiq yvuuzjqs zevuehy zgbhmmh 등이 있습니다. 

확장자 이름이 바뀌고 readme.txt 메모장이 발견이 된다면 마이랜섬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어 데이터가 암호화 되어 열어 볼 수 없게 바뀐 것인데 이를 복구 할 수 있는 방법은 무료나 공개된 복구툴이 없기 때문에 현재(글 작성 기준)까지 없다고 보셔야 됩니다. 단, 랜섬노트에 있는 사이트에 접속을 하여 해커가 원하는 비용을 지불하고 암호해독프로그램을 받아 암호를 풀어(복호화) 원래대로 복원하는 방법은 있습니다.

마이랜섬 (매그니베르, 리드미랜섬, 메그니버, readme랜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랜섬웨어)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프로그램(윈도우, 플래시 플레이어 등)을 정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최신 보안 업데이트를 통해 취약점 패치를 해줘야 합니다. 이 후 백신이나 랜섬웨어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방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백업을 통해 중요한 자료를 오프라인으로 저장을 해둬야 합니다.

파일 확장자가 brqtfip bswcalmxv bzophne cwmdnba delurmiwr dygjudzb exuhuqp fmdcatqx fmrvrvny givhoeou godfetajw jjpesuzw mgtkeag mpfwpbg njbvjkxx nnicdbc nqpwngoj ocwmmdvuo omovfmvcq pgvouyzm rlkmbvjzq sdrrydgz sfogevs tlibwokt ufcqxnbj ugkwifs ukqnigbpk uxpxsksx wqevbkct wtgnlurr wusxbcmiq yvuuzjqs zevuehy zgbhmmh 등으로 변하여 암호화 되어 열리지 않는다면 마이랜섬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니 랜섬웨어에 관한 설명과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랜섬웨어 상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