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9. 2. 12:23ㆍ랜섬웨어 복구
agommeoif, bibsquz, bokhdkq, crauczvr, cxdaplxdc, dbvwryzan, efldiwxk, hvetonple, idujhrtd, iffurdmx, ijbjyxzfr, iobtuhh, ispjtxrpe, jgezprut, jukjrgc, ktdkwczk, ktoxhda, lgxilqb, lkiqpfazo, lwowizp, lxxajppa, mrxacmbv, nemmktwd, pgbusea, qhoxejb, qzoemgqtj, refkrsaux, rhlgnih, rljzxoc, sidcvnezt, sqdjgxusr, taumgib, tgvklokgb, tprpbtgvp, uazgfgqyx, ujkzchmi, uzfdhgnb, vmdcrxop, vxkmodzx, wzutvmp, xardwcsmy, xepeqimj, xxoetyf, ykxtuuvb, ymofhszwg, zixtfqaba
잘 사용하고 있던 파일이 갑자기 열리지 않게 된다면? 그런데 하나만 그런게 아니고 사용하던 모든 파일이 다 열리지 않는다면 뭔가 심각한 상황일 수 있겠구나 생각을 하시게 되죠. 확인을 해보니 확장자가 이상한 이름으로 바뀌어 있고, 처음보는 readme.txt 메모장 파일이 있다면 매그니베르 랜섬웨어에 감염이 되신 것입니다. 랜섬바이러스 감염이 되어 복구 안내문을 보게 되는데 이게 뭔 말인지 어떻게 해야 되는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readme.txt 메모장을 랜섬노트라고 하는데 랜섬바이러스 복구 안내문 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매그니베르 랜섬웨어에 감염이 되어 복구를 하고 싶다면 이렇게 하면 된다는 안내 내용이 담겨져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랜섬웨어는 파일을 암호화 하여 열어볼 수 없게 만든 후 이걸 다시 볼려면 암호를 풀어야 되는 복호화를 진행해야 되는데 안타깝게도 최근에 감염이 된 경우 무료나 공개된 복구툴이 없기 때문에 원래대로 복원을 할 수 없습니다. 랜섬바이러스를 유포한 해커에게 비용을 지불하면 암호해독 소프트웨어를 주는데 이걸 이용하여 복호화를 하여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매그니베르 랜섬웨어에 감염이 되었다면 무료나 공개된 복구툴이 없기 때문에 복구는 안되고 해커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암호해독 프로그램을 받아 복호화를 하면 되는데 이는 랜섬바이러스 복구 안내문에 있는 임시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 한 다음 진행하게 됩니다. 이런 랜섬웨어 감염이 있을 경우 2차 피해를 막기 위해서 포맷 후 윈도우재설치를 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후 랜섬웨어예방수칙에 따라 보안 업데이트와 백신등을 설치하여 실시간 감시를 통해 차단을 해야 되며, 보안이 안 되어 있는 사이트나 출처불명의 링크를 클릭하는 자제해야 됩니다. 또한 이메일 첨부파일의 경우 항상 한번더 확인을 하고 열어봐야 되고, 중요한 파일의 경우 따로 백업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랜섬바이러스 복구 안내문인 readme.txt 메모장이 보이고 파일의 확장자가 agommeoif, bibsquz, bokhdkq, crauczvr, cxdaplxdc, dbvwryzan, efldiwxk, hvetonple, idujhrtd, iffurdmx, ijbjyxzfr, iobtuhh, ispjtxrpe, jgezprut, jukjrgc, ktdkwczk, ktoxhda, lgxilqb, lkiqpfazo, lwowizp, lxxajppa, mrxacmbv, nemmktwd, pgbusea, qhoxejb, qzoemgqtj, refkrsaux, rhlgnih, rljzxoc, sidcvnezt, sqdjgxusr, taumgib, tgvklokgb, tprpbtgvp, uazgfgqyx, ujkzchmi, uzfdhgnb, vmdcrxop, vxkmodzx, wzutvmp, xardwcsmy, xepeqimj, xxoetyf, ykxtuuvb, ymofhszwg, zixtfqaba 등으로 바뀌어 있다면 매그니베르 랜섬웨어에 감염이 된 것으로 복구나 예방, 치료, 차단 등 관련 도움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 매그니베르, Magniber, 매그니버, 마이랜섬, 리드미랜섬, readme랜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나 똑같은 것이며, 지금까지 수천개 이상의 확장자가 매일 새롭게 발생하고 있으니 확장자를 따로 확인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랜섬웨어 복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랜섬웨어 복구와 대책 (0) | 2019.09.04 |
---|---|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감염은 어떻게 되나요? (0) | 2019.09.03 |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복구툴로 감염된 파일복구 가능한가요? (0) | 2019.08.31 |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감염 증상은? 확장자 이상하게 변하고 (0) | 2019.08.30 |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파일복구와 감염 예방방법은? (0) | 2019.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