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섬웨어 예방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2019. 11. 2. 14:16랜섬웨어 복구

랜섬웨어에 감염이 되면 파일이 암호화 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바뀌게 됩니다. 현재 수많은 종류의 랜섬바이러스가 있으며 일부만이 공개된 복구툴을 이용하여 다시 원래대로 복원이 가능합니다. 다시 말해 공개 복구툴이 없는 경우라면 원래대로 복원이 불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물론 막대한 금전적 손해를 감수하고 해커에게 비용을 지불하여 암호해독 소프트웨어를 받아 파일복구 하는 방법이 있기는 합니다.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도저히 방법이 없다보니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인데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가장 확실하고 간단하며 안전한 랜섬웨어 예방방법은 백업을 해두는 것입니다. 중요한 파일을 외장하드, USB메모리, 나스서버, 클라우드 등에 따로 복사본을 만들어 두는 것입니다. 랜섬웨어에 감염이 되어 파일이 암호화 되었을 경우 백업 해둔 복사본을 가져오면 끝입니다. 또한 실수로 삭제나 포맷, 저장장치의 고장 등으로 파일이 사라지거나 접근이 불가능 할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랜섬웨어 감염이 되는 가장 큰 원인은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보안이 취약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분들이 인터넷을 하거나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막는 경우가 있고 느려져 백신을 설치하지 않거나 보안 업데이트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랜섬웨어 유포자는 이런 점을 노리는데 보안업데이트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백신과 안티랜섬웨어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기간 감시를 통해 차단을 한다면 대부분의 랜섬웨어 감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랜섬웨어 감염예방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컴퓨터 사용 습관을 바꿔야 합니다. 소프트웨어는 정품을 사용해야 하지만 크랙 등을 찾아 설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해커가 미리 준비해둔 것을 받아 실행함으로써 랜섬웨어에 감염 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P2P 사이트나 보안이 취약한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경우 한번 더 생각해보고 검사를 해보아야 합니다. 일반 무료 프로그램 역시 한번 더 확인을 해야 됩니다. 또한 동영상 다시보기 사이트의 링크나 유X브 영상 다운로드 사이트의 경우 해커가 미리 만들어둔 사이트로 연결이 되어 감염이 되는 사례 역시 많이 있습니다. 이제까지 안전 했는데 설마라고 생각할 때 감염이 될 수 있으니 웬만하면 접속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메일 첨부파일 역시 무작위로 보내 첨부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고 실행하도록 유도를 하는데 보낸 사람이 누군지 한번더 확인하고 첨부파일에 대해 한번 더 확인을 해봐야 됩니다. 사용 습관만 바꾸면 감염 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랜섬웨어 감염 예방 방법은 크게 어려운 것이 없습니다. 다만 조금 귀찮고 익숙하게 하던 행동들을 한번에 고치기가 힘들 뿐입니다. 백업을 해두는 것과 보안 업데이트 및 백신 등을 설치하고 실시간 감시를 켜두는 것은 조금만 시간을 투자하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사용 습관은 감염이 되기 전까지는 바뀔 가능성이 적고 한번 감염이 되었더라도 똑같은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은데 설마하는 마음이 가장 큰 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랜섬웨어 예방수칙에 따라서만 사용한다면 피해를 최소화 하거나 당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