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복구 - 외장하드 복원 점검 받고 서비스 받아 보세요

2020. 2. 11. 15:58데이터복구

외장하드가 갑자기 인식이 안된다면?

어떤 상황인지 먼저 확인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장하드 케이블이 불량인지부터 확인을 해보고

연결한 컴퓨터 USB 포트에는 문제가 없는지도

확인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USB 케이블에 문제가 있거나 사용하는 컴퓨터에 문제가 있다면

완전 다른 문제라 외장하드 복원은 필요 없습니다.

 

케이블을 바꿔보거나 다른 컴퓨터에 연결을 해보는 등

여러가지를 직접 해볼 수 있는데

 당장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라면

데이터복구 센터에 맡겨서 점검을 받아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 

 

외장하드는 크기에 따라 2.5인치와 3.5인치 두가지가 있습니다.

특히 3.5인치 일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어탭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어댑터가 고장난 경우 전원공급이 되지 않아

인식불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원공급이 원할하지 못하기에 

비정상 동작을 하면서 내부 손상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내부 손상이 있기에 외장하드 복원을 통해 저장되어 있던 파일을 찾아야 되는데

내부 상태를 알 수 없기에 데이터복구 작업을 위해서는 

점검을 해서 어떤 상태인지 정확하게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장하드에는 내부에 하드디스크가 있습니다.

대부분 이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발생하여 

갑자기 인식이 되지 않는 상황이 많습니다.

 

하드디스크 상태에 따라 복구 여부가 달라지게 되는데

정확한 상태 점검을 해야만 

외장하드 복원의 결과도 좋게 됩니다.

 

하드디스크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복구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눈으로 확인을 하는게 거의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장비를 이용하여 점검을 하게 되므로

직접 뭔가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외장하드를 사용하다보면 여러가지 오류 메세지를 볼 수 잇는데

대표적인 것이 접근불가와 포맷 메시지 입니다.

 

논리적인 파일 시스템 구조가 손상이 된 경우도 있지만

물리적인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의 부품이 손상 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논리적인 부분이라면 직접 복구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찾을 수도 있지만

물리적인 손상이라면 복구 장비를 이용해야 하기에

직접 외장하드 복원을 진행하기는 어렵습니다.

 

물리손상인 상태에서 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손상 된 부위가 더 커져 최악의 상황인 복구불가 상태로 변할수도 있습니다.

 

 

외장하드가 갑자기 인식이 되지 않는다면

케이블이나 다른 컴퓨터에 연결을 해보는 등

간단하게 확인을 해보신 후 데이터복구 센터에 맡겨서

점검을 받으신 후 외장하드 복원 서비스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