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그니베르 랜섬웨어 감염 파일 복구 방법

2019. 10. 18. 13:09랜섬웨어 복구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감염 파일 복구 방법

감염에 의해 확장자가 변하는데 매일 새롭게 생성이 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수천개가 넘는 확장자명이 있습니다. 랜덤한 문자열로 생성이 되어 확장자명만으로는 어떤 종류의 랜섬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는지 알 수 없습니다.

 

10.18 확인 된 확장자명 리스트 (abc순서)

bruqdbj brzweqo cnnveup enzaoja eyypaslntb gpegqttym hqgsgmszb iapnehmy jxwiplfzgq kzpubryi mcdyqcg mmhfeaonz nlpftvbar pkwumsehf plpdxqzvw qvyupvyh rahdxixn vctetzdg vrplmul xjxyxolo zmaxgvmwr 등이 있습니다. 

저장되어 있던 영상이 갑자기 "재생 시작 시 문제가 생겼습니다. 미디어를 재생할 수 없습니다. 파일은 존재 하지만 동영상이 아닌 듯 합니다." 메시지가 나온다면 손상이 되었을 가능성을 한번 의심해 봐야 되죠. 근데 이게 파일 하나만 그런게 아니고 전체가 다 이렇다면? 일반적인 파일 손상이 아닌 다른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로 랜섬웨어 감염입니다. 그럼 이 감염된 영상 파일 복구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랜섬웨어에 감염이 되면 파일이 암호화 되어 버린다는 것입니다. 말 그대로 암호를 풀기 전까지는 내용을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복구 방법은 이 암호화를 해독하는 것인데 이를 복호화라고 합니다. 많은 보안업체에서 지금도 복구툴을 연구 개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나온게 없네요. 물론 작년(2018년)에 매그니베르나 갠드크랩 랜섬 복구툴이 잠깐 나왔지만 이 후 랜섬바이러스 역시 업그레이드가 되면서 무용지물이 되어 버렸습니다.

 

글작성이 기준으로 현재 수많은 랜섬웨어의 종류가 있는데 최근에 감염이 되었다면 공개된 복구툴이 없어 이 암호화 된 파일을 해독할 수 없어 랜섬웨어 감염 파일 복구 방법이 없다고 봐야 됩니다. 그렇다고 절대 원래대로 복원이 불가능 한것은 아닙니다. 랜섬이라고 이름 붙여진게 암호화된 파일을 인질 삼아 금품을 요구한다는데서 비롯된 것과 같이 랜섬유포자인 해커에게 비용을 지불하면 암호해독 소프트웨어 - 그들이 말하는 특수 프로그램 - 을 받아 암호화를 풀어 원래대로 복원은 가능합니다.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감염 파일 복구 방법이 해커에게 비용을 지불하는 방법이 있다고는 하지만 비용 자체가 일반인이 생각하기에는 터무니없는 가격으로 책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하지는 못합니다. 알고 있더라도 부담이 되어 할 수 없다는 표현이 좀 더 적절 한듯 합니다. 그리고 범죄자에게 비용을 지불한다는 거부감도 있을 수 있습니다. 

 

어쨌거나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감염 파일 복구 방법이 현재로서는 없다보니 피해를 입기전에 예방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대부분 랜섬바이러스에 감염 되시는 분들의 경로를 살펴보면 불법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이나 폰트, 크랙 등)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거나 불법 무료 동영상 다시보기 사이트에서 링크를 통해 영상을 보거나 유튜브 영상 다운로드를 하기 위해 다른 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 입니다. 특히 백신을 설치하여 실시간 감시를 꺼두거나 설치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게 가장 위험한 행동일 수 있습니다.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감염 파일 복구 방법은 있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방법에 가깝기에 감염이 되지 않도록 절대 위험한 사이트에는 접속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감염이 한번 된 컴퓨터는 또 감염이 될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시스템 초기화 - 포맷 후 윈도우 재설치 -를 해주고 보안 업데이트와 백신 등을 설치하여 실시간 감시를 통해 감염이 되기 전에 막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예방수칙 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렌섬웨어 피해 예방을 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백업을 이야기 합니다. 중요한 파일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다른 저장장치에 따로 저장을 하여 보관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랜섬웨어에 감염이 되면 컴퓨터의 모든 디스크와 연결된 이동식 디스크(외장하드, USB메모리 등)도 같이 암호화가 되어 버립니다. 그렇기에 2중 3중으로 백업을 하는 것이 좋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연결을 하지 않는 것이 필요합니다. 

 

bruqdbj brzweqo cnnveup enzaoja eyypaslntb gpegqttym hqgsgmszb iapnehmy jxwiplfzgq kzpubryi mcdyqcg mmhfeaonz nlpftvbar pkwumsehf plpdxqzvw qvyupvyh rahdxixn vctetzdg vrplmul xjxyxolo zmaxgvmwr 등으로 확장자가 변해 버리는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감염이 되었을 경우 파일 복구는 가능하지만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되는 만큼 전문가와 상담을 한번 해보시고 신중하게 결정을 하시기 바라며, 예방이나 치료, 시스템 초기화 등 관련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언제든지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