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5. 29. 11:54ㆍ데이터복구
랜섬웨어 감염의 주된 경로는 어떻게 될까요?
1. 무료 동영상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다시 보기 사이트
2. 유튜브 mp3 무료 다운로드 사이트
이 두 군데에서 가장 많이 감염이 된다고 합니다.
그 이외에도 뭔가 불법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을 하거나
이메일 첨부파일을 열어보다 감염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리 철저하게 준비를 해뒀다고 하여도
위험해 보이는 사이트나 실행파일을 직접 방문하거나 실행해 버리면
백신이나 랜섬웨어 예방 프로그램을 설치 해뒀다고 하더라도
이를 무력화 하고 감염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그냥 도둑에게 대문을 활짝 열어줘 버린것이죠.
랜섬웨어 복구 방법은 공개된 복구툴을 이용하는 방법과
그들(해커)가 원하는 비용을 지불하고
복호화 프로그램을 받아서 실행하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최근에 랜섬웨어 랜섬웨어에 감염이 되었다면 복구화툴이 었으니
직접 뭔가 해볼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최근 랜덤한 확장자가 변경이 되는 랜섬웨어 종류로는 매그니베르, 갠드크랩, 소디노키비
이렇게 3종류가 있는데 각각 readme.txt [확장자]-manual.txt [확장자]-readme.txt
로 된 랜섬노트가 생성이 되니 이걸로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랜섬노트가 있어야 나중에 공개 복구툴이 나올 경우 복구가 가능하니 하나는 꼭 챙겨 두도록 합시다.
랜섬웨어에 감염이 되었다면 일단 무료 공개 복구툴이 있는지 확인을 해보시고
없다면 복구를 해야 될지 말지 신중하게 고민을 하신 다음
복구가 필요하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해보시고
복구가 필요 없다면 포맷 후 윈도우 재설치를 해준 다음
최신 보안 업데이트, 백신 및 랜섬웨어 방어 프로그램 설치 후 실시간 감시
위험해 보이는 사이트 또는 링크는 접근하지 않기
이메일 첨부파일은 한번 더 확인하기 등
랜섬웨어 예방 수칙을 한번 꼼꼼하게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데이터복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리 컴퓨터 데이터복구 상황에 맞게 (0) | 2019.06.01 |
---|---|
하드디스크복구 - 하드디스크 사용하는 곳 (0) | 2019.05.31 |
노트북 하드디스크복구 사례 - 고장나서 SSD 교체 후 (0) | 2019.05.28 |
하드디스크 인식불가 복구는 이렇게 합니다. (0) | 2019.05.27 |
스마트폰복구 이것만 기억 해주세요 (0) | 2019.05.25 |